포트폴리오 모형은 포트폴리오가 가지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하기 위한 모형.

그런데 투자수익률은 위험에 대한 보상으로 나타나기에,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선 투자대상의 위험특성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리스크 모형이라 불리기도 한다.

 

액티브 운용에서는 위험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 모형을 이용하며, 패시브 운용에서는 벤치마크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모형을 이용한다.

 

1) 다중 요인 모형

주식의 리스크를 체계적 요인과 비체계적 요인으로 구분한다. 체계적 위험이란 시장 전체에 대한 피할 수 없는 위험이고, 비체계적 위험이란 각 산업에 대한 피할 수 있는 위험이다.

 

2) 2차 함수 최적화 모형

기대수익률과 추정 위험 간의 최적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럼에도 추정치에는 오류가 개재되어 있기 마련이기에 실제 사용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때문에 흔히 제약조건하에서 최적화시키는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선형계획 모형

2차 함수의 최적화 모형의 대안으로 선형계획 모형이 제안되기도 한다. 즉, 선형계획 모형은 일정한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는 포트폴리오 중에서 기대수익률을 최적화하는 것을 찾는 방법을 취한다.

제약조건에는 규모, 배당수익률, 거래비용, 유동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약조건은 벤치마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중심으로 일정한 변동범위를 정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포트폴리오 모형의 활용

1) 운용의사결정 지원 목적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액티브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초과수익을 위해 위험을 취할 수밖에 없는 액티브 운용에서, 적절한 위험만을 택해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예상수익률을 추정하고, 예상 위험의 크기를 표준편차 등의 공통된 위험지표로 추정한다. 또한 예상치 못한 위험으로부터의 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위험요소 별로 포트폴리오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하기도 한다.

결국 제약조건을 가진 최적화 과정을 통해 종목과 투자비중이 결정된다. 그리고 시장의 변화에 맞춰 포트폴리오 재조정(revision) 과정을 거치게 된다.

패시브 운용에서는 벤치마크와의 위험요인의 크기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모형을 이용한다.

 

 

2)성과 요인 분석 목적

포트폴리오 모형을 이용하여 벤치마크의 성과 분석을 통해 각 위험요소부터 나타난 수익률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각 포트폴리오가 취한 위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수익률과 비교함으로써 펀드매니저가 취한 위험노출 정도가 적절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일기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R  (1) 2025.04.03
ESG와 책임투자의 기본 이해  (0) 2025.04.02
포트폴리오 종목  (0) 2025.03.27
포트폴리오 구성 시 고려사항  (0) 2025.03.26
주식 포트폴리오 구성의 실제  (0) 2025.03.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