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부채관리(Asset Liability Management : ALM)
금융기관의 전통적인 위험관리시스템으로, 자산과 부채를 연계하여 기업의 위험을 관리하는 시스템.
은행의 경우 자산과 부채의 대부분은 각각 대출과 예금으로 구성되어 있어 금융기관의 손익은 금리의 변화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변한다. 이에 금리위험에 노출된다. ALM은 만기 갭분석 또는 듀레이션 갭 분석을 통하여 금리 변화에 따른 순자산가치의 변화를 관리하는 기법이다.
좁은 의미의 ALM 기법은 발생주의 원칙으로 기록되는 발생주의 항목들을 대상으로 중기금리의 움직임을 예측한 후, 이것이 금융기관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하여 최종적으로 추정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ALM 기법은 매우 복잡한 금융상품이나 매일 시가를 계산하는 거래항목, 즉 시가주의 원칙으로 기록되는 항목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반면 VaR는 거래항목에 적용할 수 있다. VaR 기법은 거래항목에 적용하여 현재의 시가로 평가할 뿐만 아니라 여러 위험요인의 단기 변화를 예측하여 시장가치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VaR의 계산
VaR를 계산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1) 실제 분포를 이용하는 비모수적(nonparametric) 방법
비모수적 방법 : 관측값이 어느 특정한 확률분포를 따른다고 전제할 수 없거나 또는 모집단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는 경우에 실시하는 검정방법.
표준편차를 이용하지 않고 일별 수익률의 평균과 최솟값으로부터 95%의 신뢰 수준에서의 최대손실금액을 계산.
2) 표준편차를 이용하는 모수적(parametric) 방법
95%의 신뢰수준에서 발생하는 표준편차배수a와 표준편차를 곱하여 최대손실금액을 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