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공부

채권의 성과 요인 분석

시냥이 2025. 1. 20. 23:00

채권도 기본적으로 주식 포트폴리오와 동일.

기준 지표를 상회하였는가 평가하고, 그 이유를 확인

 

채권 수익률

- 확실 요소(쿠폰 수익)

1. 만기수익률 효과

 

- 볼확실 요소(가격 변동)

2. 금리변동 효과

3. 신용등급 효과

4. 잔차 효과

 

채권 포트폴리오의 위험 

1. 이자율 위험

2. 재투자 위험

3. 중도상환 위험(call risk)

4. 수익률 곡선 위험

5. 변동성 위험

6. 파산 위험.

7. 환율 위험

8. 물가상승 위험

9. 유동성 위험 

등등

 

채권 또한 체계적, 비체계적 위험이 있는데,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발생하는 위험은 부도 위험만이 존재하게 되며 이 때 주식의 경우보다 비체계적 위험이 적다.

때문에 채권 포트폴리오의 경우 시장위험 또는 체계적 위험을 어떻게 통제하는가를 중요시한다.

전통적으로 채권 포트폴리오의 체계적 위험은 잔존만기 또는 듀레이션을 변화시켜 통제해왔으며, 듀레이션을 분산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되어 왔다.

 

 

시장선 접근 방법

주식 포트폴리오의 경우 베타를 이용한 위험 조정 후 수익률 계산이 보편화 되어 있다. 채권의 경우는 베타 대신 듀레이션을 사용한다.

? : 듀레이션(Duration)은 채권의 만기, 수익률, 쿠폰 및 콜 특성을 고려하여 채권의 이자율 위험을 측정한 것\

 

자본시장선이나 증권시장선처럼, 위험X수익률 평면에 채권시장 포트폴리오를 표시하고, 무위험수익률과 채권시장 포트폴리오를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성과 분석하는 방법을 시장선 접근방법이라고 함.

 

채권형 펀드의 성과 요인 분석 사례

채권형 펀드의 기준 지표는 신용등급과 만기를 고려하여 설정

적극적인 운용에서는 신용 스프레드를 이용한 투자와 듀레이션을 이용한 투자 방법이 있음.

안정적인 채권시장에서는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듀레이션이 길수록 수익률이 높음.

그러나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발생한 수익률이 어떠한 요인에서 기인한 것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가상의 동일신용 포트폴리오, 동일 만기 포트폴리오로 가상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비교함.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