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샤프 : 개별 증권의 수익률이 필연적으로 시장 전반적인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변동에 시장 요인을 추가함.
개별 증권의 가격 변동 : 시장 전체 + 개별 기업 고유요인
위험을 시장 위험뿐만 아니라 총위험으로 규정하고 총위험과 수익률 간 관계를 규명하였음.
자본시장선(CML : Capital Market Line) 의 원리를 이용하여 '투자수익률 대 변동성 비율'로 포트폴리오 성과를 측정
좌변 : 포트폴리오를 보유함으로써 실제로 부담한 총위험(표준편차) 한 단위당 실현된 위험 프리미엄(포트폴리오의 샤프비율)
우변 : 기준 포트폴리오의 총위험 한 단위당 실현된 위험 프리미엄(기준 포트폴리오의 샤프비율)
즉, 샤프비율은 총위험 한 단위당 어느 정도의 보상을 받았는가 하는 위험 보상율을 의미하며, 값이 클수록 투자성과가 우수.
활용방법
1) 운용기간이 동일한 펀드들만이 서로 샤프비율을 비교 가능.
2) 평가 대상 펀드들 모두 동일한 기준 포트폴리오를 가져야함.
3) 측정 단위기간 마다 값이 달라지며, 적어도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월간 수익률로 측정해야 정규분포라는 통계적 속성 확보
4) 여러 자산집단이나 펀드를 대상으로 충분하게 분산투자하지 않는 투자자에게는 샤프비율이 트레이너비율보다 적합한 펀드 평가 방법.
월간 수익률을 연율화해도 동일한 평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샤프비율을 비롯한 각종 평가지표는 연율화된 값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율하 방법 : 월평균 초과 수익률 12배, 표준편차에 12^(1/2)배 하여 계산)
? : 월간 수익률로 보면 샤프 값이 매우 낮아서? 연율화하여 확실하게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