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유형 : 성과를 상대적으로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유사한 펀드들 끼리 묶어 놓은 동류 집단.
동류 집단 수익률은 투자자들을 위한 투자대안이 가능한 포트폴리오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단점 :
1) 실시간으로 기준 지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2) 동류 집단을 적절하게 결정하고 감시할 수 있는 절차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동류 집단에서 일부가 탈락함으로써 생존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4) 복제하거나 투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5) 중립 포지션이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운용자가 중립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주식의 기준 지표 - 시장 지수
1) 시장의 평균적인 성과
2) 분석 자료로 활용
3) 인덱스 운용전략의 기준
스타일 지수
: 연기금과 같은 기관투자가들은 전략적 자산배분 단계에서 자산집단(asset class)에 대한 분산투자를 사용.
S&P, Russell, Wilshire 등과 같은 여러 금융정보 제공회사들이 스타일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함.
S&P의 경우 규모의 관점에서 구분한 스타일 지수로는 S&P500, S&P900, S&P1000 등이 있다.
가치, 성장의 관점에서 구분한 스타일 지수로는 S&P/Citigroup style 지수가 있다. ( 주당순이익 성장률, 장부 가격 대 주가비율 등등을 토대로 성장 가치를 산출)
일반 스타일 지수 / 순수 스타일 지수(범위가 더 좁음)
채권 지수
: 일정기간 동안 특정 집단의 채권 가치 변화를 지수화한 지표.
채권지수는 종합주가지수처럼 산출되지만 상당한 차이점을 가진다. 종합지수가 존재하며, 세부적으로 채권 잔존만기와 발행주체-신용 등급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구분되어 발표된다. 그리고 산정방식에 따라 총수익지수, 가격지수, 이자지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중 실질적 성과평가에 적합한 지수는 총수익지수이다. 또한 모집단에 따라 시장지수와 맞춤 지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국의 채권지수 : KOBI30, KOBI120
외국의 채권지수 : WGBI(World Govement Bond Index), GBI(Global Bond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