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금액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나는 평범한 투자자다. 익숙하지 않은 투자에 모든 것을 베팅하지 않으며, 조심스럽게 접근한다. 하지만 투자 금액 설정에 관해 깊이 고민해본 결과, 항상 같은 금액을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과거에 내가 어떤 방식으로 투자를 해왔는지 되돌아보며 몇 가지 문제점도 발견했다.
투자 초보의 시작: 소액 투자와 성장
대부분의 투자자는 소액으로 투자를 시작한다.
몇 천 원에서 몇 만 원 정도를 투자해 한 종목의 주식을 1주 정도 매수하고, 주가가 2~3% 상승했을 때 매도하며 주식 시장에 흥미를 가지게 된다. 이후 정보를 찾아보고, 경험과 지식을 쌓아가며 투자 금액을 점차 늘려간다.
나 역시 그랬다.
처음에는 2,500원짜리 주식 한 주를 사면서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투자 규모는 몇 십만 원, 몇 백만 원으로 자연스럽게 커졌다. 경험과 지식에 맞춰 투자 한도를 키워가는 과정은 합리적으로 보인다.
실패의 순간: 실패는 언젠가 찾아온다
하지만 투자 금액을 키워가는 과정에서 실패는 피할 수 없다.
이 실패는 물타기를 시도하다가 발생할 수도 있고, 철저한 분석을 통해 선택한 종목에서 의외의 손실을 보며 발생할 수도 있다.
높은 금액으로 투자했지만 실패했을 때, 당신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나는 어떻게 행동했는가?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이 손실로 이어지는 상황을 목격했을 때, 손이 떨릴 만큼 큰 압박감을 느꼈다.
손실이 10%, 20%로 커지면 결국 손절을 선택하게 되고, 투자 금액을 다시 줄이며 "내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고 자책하며 큰 경험을 얻었다며 정리한 적도 있다.
수학적 관점: 같은 금액의 투자 필요성
이 과정을 거치며 나는 스스로 성장했다고 느꼈다. 하지만 수학적으로 생각해보니 이야기가 달라졌다.
큰 금액으로 본 손해는 같은 금액의 이익이 아니고서는 절대 복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보자:
- 처음 1천 원으로 100%의 수익을 냈다고 하자.
- 이후 1만 원으로 50%의 수익을 내며 점점 투자 규모가 증가한다.
- 그런데 100만 원으로 10% 손실을 본다면? 총 손익은 94,000원의 손실이다.
만약 손실 이후 투자 금액을 줄여 10만 원으로 투자하여 50%의 수익을 내더라도 총 손익은 여전히 -44,000원이다.
이 예시가 극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도 투자 금액을 계속 키우는 방식은 기하평균적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같은 금액으로 투자해야만 한다.
결론: 투자 금액 설정의 기준
현명한 투자자는 실패를 통해 자신의 한도를 조정하고, 자신의 그릇 크기를 이해하며 무리한 투자를 지양한다. 하지만 투자 금액을 키운 상태에서 실패가 발생하면 그 손해는 돌이키기 어려운 수준으로 커질 수 있다.
직관적으로는 큰 손실을 입었을 때 투자 규모를 재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해결책은 그렇지 않다. 마치 상처 입은 몸을 보호하는 것은 오히려 상처를 덧나게 하며, 아프더라도 적절한 소독과 치료가 필요한 것과 같다.
투자에서도 마찬가지다. 직관과는 너무 다른 현상들이 많이 관찰된다.
수학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항상 같은 금액으로 투자해야 한다.
그러므로 처음 투자 금액을 어떻게 설정할지가 투자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자 금액을 늘릴 때는 철저한 분석과 수학적 기준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이 원칙을 지킨다면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자동매매 개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4년 수익 분석 (0) | 2025.01.04 |
|---|---|
| 24년 자동매매 수익 결산 (1) | 2025.01.01 |
| 엑셀 파일 손상 에러 (1) | 2024.12.27 |
| 비트코인을 정말 믿을 수 있을까? (1) | 2024.12.05 |
| 자동매매에서 가장 위험한 것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