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평가

1. 성과의 수익률 및 우열을 측정함으로써 투자의 효율성 확인

2. 성과의 원인과 특성을 파악

 

펀드의 회계처리

1. 공정가치 평가 (잘사용되지 않을 듯)

2. 발생주의 회계 (accural basis) : 거래 발생에 따라 펀드의 순자산을 변동함. 현금주의와 달리 실제 현금이 움직이지 않고 손익이 예상되는 지점에서 회계처리를 함.

3. 체결일 기준 회계처리 : 거래의 이행이 확실시되는 경우 체결 확정날에 회계처리를 함. 

 

- 당장 내가 알아야할 지식은 아닌 듯 하다.

 

 

GIPS의 평가 규칙 - 짧게 요약하여 공정가평가와 발생주의 방식으로 평가한 자산가치에서 부채가치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가치(NAV)라고 하며, 이를 기준으로 투자자들이 펀드를 거래하거나 기금의 성과를 평가함.

 

 

투자수익률 계산

펀드의 수익률은 펀드의 기초 대비 기말의 가치 변화를 기초가치로 나누어 계산.

1. 금액가중 수익률 : 내부수익률 IRR(Internal Rate of Return) : 

수익률 (R)  =  (a-b)/b 

금액가중 수익률  (r) = 각 기간별로 현금유입액에서 현금유출액을 차감한 순현금흐름을 할인하여 합산한 값을 0으로 만드는 할인율이 총기간의 금액가중 수익률이 됨.

현금 유출액 (주식 매입), 현금유입액 (배당금 + 주식매각액)

 

금액가중 수익률은 현금 유입, 유출의 시점 및 규모를 펀드매니저가 결정할 수 없다. 총운용 기간 동안 단 한번 계산된다. 펀드매니저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투자자가 실제로 획득한 수익을 투자기간을 고려하여 측정하는 데에는 가장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시간가중 수익률

펀드매니저의 운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세부기간별 수익률을 기하적으로 연결하여 총수익률을 구한다. 세부기간이 짧을수록 수익률 왜곡현상은 감소하는데, 1일 단위로 세부기간을 구분하여 수익률을 측정하는 것을 순수한 시간가중 수익률 이라고 부른다. (Daily Valuation Method).

순수한 시간가중 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반드시 일별로 수익률을 측정할 필요는 없으며, 자금의 유출입이 발생한 시점별로 구분하여 수익률을 측정하여도 얻을 수 있다. 이외는 근사적 시간가중 수익률 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펀드의 경우 투자 단위당 순자산가치를 매일 계산하여 발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를 기준 가격이라고 부른다.

현금유출입이 발생한 시점별로 수익률을 계산한뒤 이를 기하적으로 연결하면(모두 곱하면, geometric linking) 시간가중 수익률이 된다.

 

 

수익률 측정 시 고려사항

1. 평균 수익률 : 산술평균, 기하평균

연평균 수익률 산출은 기하평균이 적절하며, 연도별 예상 수익률을 추정하기에는 산술평균이 적절하다.

 

2. 계산사례

8개 분기(2년) 수익률을 각 분기별로 구하여 기하적 연결을 하여 총수익률(시간가중 수익률)을 얻었다면, 이에 연도별로 지수나눗셈을 하여 연평균 수익률 (기하평균 수익률) 을 얻을 수 있다.

 

? : 총 수익률을 얻기위해 금액가중 수익률, 시간가중 수익률을 사용하고 이에 평균 수익률을 얻는 방법은 또 다르구나

이처럼 어렵게 총수익률을 구하는 이유가 펀드는 계속해서 금액이 유입, 유출되기 때문에 그런가보다. 또는 개인투자자 또한 거래를 통해 총 자금이 달라질때마다 이에 맞춰서 수익률 계산을 해야하는 것 같다. 매일 거래가 일어나면 이에 맞춰서 총 수익률 계산을 따로 해야하는건가?

 

 

 

 

 

'일기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 지표  (1) 2025.01.06
투자 위험  (0) 2025.01.04
성과평가의 정의  (0) 2025.01.02
자산 배분이란  (1) 2025.01.01
주식 투자의 중요성  (0) 2024.12.31

+ Recent posts